국내 유아동복 이커머스 시장을 선도하는 뉴키즈온(New Kids On)이 2025년 7월 9일 KB제28호스팩과의 합병을 통해 코스닥에 상장했습니다. 이 글에서는 뉴키즈온의 기업 개요부터 재무 현황, 성장 전략, 스팩 상장 배경, 경쟁사와의 인력 비교 및 인력 규모가 매출과 성장에 미치는 영향까지 종합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1. 뉴키즈온 기업 개요 및 성장 배경
설립과 성장
2013년 설립된 뉴키즈온은 온라인 중심 D2C(Direct to Consumer) 이커머스 모델을 기반으로 빠르게 성장해 국내 유아동복 시장 1위 기업으로 자리매김했습니다.
주요 브랜드는 젤리스푼, 밀크마일, 몰리멜리이며, 최근 비건 화장품 브랜드 ‘오가본’ 론칭 등 사업 다각화를 추진 중입니다.
사업 모델과 경쟁력
**D2C 이커머스**를 중심으로 쿠팡, 네이버, 무신사 등 주요 온라인 플랫폼에 입점해 있습니다.
글로벌 캐릭터 IP(케어베어, 디즈니, 산리오 등)를 활용해 연간 2,500개 이상의 신규 스타일을 출시하며 트렌드에 민첩하게 대응합니다.
원사 구매부터 편직, 염색, 프린트까지 국내에서 진행하고 해외에서 완제품을 생산하는 공급망 혁신으로 원단 유통비용 15~20% 절감, 매출원가율 45.8%를 달성했습니다.
디지털 마케팅과 고객 데이터 분석을 통해 맞춤형 프로모션과 개인화 추천 시스템을 운영, 고객 충성도를 높이고 있습니다.
2. 재무 현황 및 실적 분석
연도
매출액 (억원)
영업이익 (억원)
당기순이익 (억원)
영업이익률 (%)
2020
313
29
–
9.3
2021
398
37
8
9.3
2022
488
51
7
10.5
2023
459
26
14
5.7
2024
504
45
22
9.0
2020년부터 2024년까지 매출은 약 61% 성장했으며, 영업이익도 55% 증가하는 등 견조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2023년 일시적으로 영업이익이 하락했으나, 중국 법인 폐쇄 관련 재고 처리 영향으로 분석되며 2024년 다시 회복했습니다.
당기순이익도 꾸준히 증가해 2024년 22억원을 기록했습니다.
3. 상장 개요 및 시가총액
뉴키즈온은 2025년 7월 9일 KB제28호스팩과 합병해 코스닥에 상장했습니다.
총 발행주식수는 약 790만 주이며, 상장 기준가는 11,980원입니다.
상장 첫날 주가는 약 20% 상승해 시가총액은 약 1,146억원에 달했습니다.
공모자금 약 115억원은 글로벌 자사몰 고도화, 신규 브랜드 론칭, 해외 마케팅, 물류센터 신축, M&A 등에 투자될 예정입니다.
4. 성장 전략 및 비전
글로벌 진출: 10년 내 해외 매출 비중 90% 달성을 목표로, 자사몰 ‘뉴키키’를 다국어 서비스로 확대하고 자체 역직구 플랫폼을 구축 중입니다.
사업 다각화: 유아동복 외 유아용품, 화장품, 건강기능식품 등으로 포트폴리오를 확장하고 있습니다.
디지털 혁신: AI 기반 상품 추천, 고객 데이터 분석, IT 인프라 고도화를 통해 고객 경험과 운영 효율성을 극대화합니다.
M&A 및 투자 확대: 상장 자금을 활용해 국내외 유망 브랜드와 플랫폼, 물류업체 인수합병을 추진합니다.
5. 스팩(SPAC) 상장 선택 배경
뉴키즈온은 우수한 실적에도 불구하고 전통 IPO 대신 스팩 상장을 선택했습니다.
스팩 상장은 전통 IPO 대비 심사 절차가 간소화되어 상장 속도가 빠르고, 시장 불확실성(기관 수요예측 미달, 공모가 하락 등)을 회피할 수 있습니다.
합병가액 조율 등 조건의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고, 상장과 동시에 공모자금을 신속히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최근 IPO 제도 변화와 동종 업계 주가 부진 등 외부 환경도 스팩 상장 결정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6. 뉴키즈온과 경쟁사 인력 규모 비교
기업명
직원 수(2025년 기준)
주요 사업 모델
뉴키즈온
약 120명
온라인 D2C 이커머스
아가방앤컴퍼니
140~160명
오프라인/온라인 병행
한세엠케이
220~250명
다양한 패션 브랜드 운영
토박스코리아
약 30명
유아동 슈즈 전문 셀렉숍
뉴키즈온은 약 120명 내외의 직원으로 높은 매출과 성장률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경쟁사들은 오프라인 매장 운영과 다양한 브랜드 라인업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더 많은 인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토박스코리아는 소규모 인력으로 프리미엄 유아동 슈즈 시장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7. 인력 규모가 매출 및 성장에 미치는 영향
뉴키즈온의 강점
온라인 중심의 효율적인 조직 운영과 공급망 혁신 덕분에 소수 인원으로도 높은 매출과 수익성을 달성합니다.
디지털 마케팅과 자동화 시스템을 활용해 인건비 부담을 줄이고, 빠른 의사결정으로 시장 변화에 민첩하게 대응합니다.
2024년 기준 약 120명의 인력으로 504억원 매출, 45억원 영업이익을 기록하며 업계 최고 수준의 효율성을 보여줍니다.
경쟁사의 특징
오프라인 매장과 전국 유통망 운영에 따른 고정비 부담이 크고, 조직 규모가 크다 보니 의사결정이 상대적으로 느릴 수 있습니다.
다양한 브랜드와 사업 부문을 운영하는 만큼 인력 분산이 불가피해 효율성 측면에서 도전 과제가 있습니다.
결론
뉴키즈온은 인력 효율화와 디지털 전환을 통해 경쟁사 대비 뛰어난 성장성과 수익성을 실현하고 있습니다.
전통적인 대형 유통 강자들은 인력 규모는 크지만, 시장 변화에 신속히 대응하기 어려운 구조적 한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8. 뉴키즈온 CEO 주춘섭 대표 소개
뉴키즈온 창업자이자 대표이사로, 2013년부터 경영을 이끌고 있습니다.
디지털 이커머스와 공급망 혁신을 주도하며, 글로벌 IP 활용과 사업 다각화를 통해 회사 성장의 핵심 동력을 만들어냈습니다.
“2~3년 내 드라마틱한 성장, 10년 내 해외 매출 90% 달성”이라는 비전을 제시하며 공격적인 글로벌 확장 전략을 추진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