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라온피플과 주요 경쟁사 재무실적 종합 비교

2024년 라온피플과 주요 경쟁사 재무실적 종합 비교

회사명매출액(억원)영업이익(억원)시가총액(억원)PER(배)영업이익률(%)
라온피플2,202-162876N/A-7.4
뷰웍스2,2292222,98610.110.0
코그넥스11,6521,46780,40046.712.6
키엔스97,6733,9738,100,00043.94.1
트윔293697731.72.0

주요 분석 결과

매출 규모 비교

  • 키엔스: 9조 7,673억원으로 압도적 1위
  • 코그넥스: 1조 1,652억원으로 글로벌 2위 수준
  • 뷰웍스: 2,229억원으로 국내 1위
  • 라온피플: 2,202억원으로 뷰웍스와 비슷한 수준 (티디지 인수 효과)
  • 트윔: 293억원으로 소규모 기업

수익성 비교

  • 키엔스: 영업이익률 4.1%로 3,973억원의 안정적 수익
  • 코그넥스: 영업이익률 12.6%로 1,467억원의 양호한 수익성
  • 뷰웍스: 영업이익률 10.0%로 222억원의 건실한 수익
  • 라온피플: 영업이익률 -7.4%로 162억원 적자 지속
  • 트윔: 영업이익률 2.0%로 6억원의 미미한 수익

시가총액 및 기업가치

  • 키엔스: 810조원의 압도적 시가총액 (일본 시총 상위 5위)
  • 코그넥스: 8조 400억원의 글로벌 기업 수준
  • 뷰웍스: 2,986억원으로 국내 선도기업 수준
  • 라온피플: 876억원으로 상대적으로 저평가
  • 트윔: 977억원으로 소규모 기업 수준

밸류에이션 비교

  • 뷰웍스: 10.1배의 합리적 PER 수준
  • 트윔: 31.7배의 중간 수준 PER
  • 키엔스: 43.9배의 프리미엄 밸류에이션
  • 코그넥스: 46.7배의 고평가 구간
  • 라온피플: 적자로 인한 PER 산출 불가

투자 시사점

  1. 규모와 수익성 격차: 키엔스와 코그넥스는 매출과 수익성 모두에서 압도적 우위를 보이며, 라온피플은 매출은 뷰웍스와 비슷하나 수익성에서 큰 차이
  2. 라온피플의 포지션: 2024년 티디지 인수로 매출 규모는 뷰웍스와 경쟁 가능한 수준에 도달했으나, 수익성 개선이 시급한 과제
  3. 성장 잠재력: 라온피플의 시가총액은 경쟁사 대비 상대적으로 저평가되어 있어, 수익성 개선 시 밸류에이션 상승 여지가 큼
  4. 기술 경쟁력: 글로벌 선도기업들의 높은 밸류에이션은 기술적 우위와 시장 지배력을 반영하며, 라온피플도 AI 기술 차별화를 통한 경쟁력 강화가 필요

Leave a Comment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

Scroll to Top